본문 바로가기
기업 심층 분석 및 주가 전망

KH바텍 (060720 KS) 기업 심층 분석 및 주가 전망

by 경제적자유로의항해 2023. 8. 16.

안녕하세요 여러분~

5번째 글로 인사드립니다!

 

지난 글에서는 삼성전자 폴더블폰의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으로 KH바텍 (060720 KS)을 소개드리고, 사업 현황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드렸었는데요,

*지난글: KH바텍 (060720 KS) 기업 소개 - 삼성 폴더블폰 수혜주

 

이번 글에서는 KH바텍이 왜 폴더블폰 시장 성장에 따른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지 아주 알기 쉽게 설명드리고, KH바텍 주가 전망과 코멘트를 공유드리고자 합니다!

 

그럼, 이번 글도 함께 또 달려볼까요~!

 

 

--------------------

 

 

먼저, 지난 글에서 KH바텍의 주요 제품군 3개를 소개 드렸었죠.

그 중에서 2번째 주요 제품군인 힌지를 기억하실 지 모르겠네요.

 

맞습니다. KH바텍은 삼성전자 폴더블폰에 들어가는 힌지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지난 번 Z플립5, Z폴드5 출시에 따른 삼성전자 주가 전망 글에서 Z플립5, Z폴드5에는 물방울 모양 플렉스 힌지가 신규 탑재되어 빈틈없는 얇은 두께를 구현할 수 있었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

 

그 때 설명드린 물방울 모양 플렉스 힌지를 100% 생산해서 삼성전자에 공급하는 기업이 바로 KH바텍입니다!

 

갤럭시 Z플립5, Z폴드5에 신규 탑재된 물방울 모양 플렉스 힌지 구조도 (출처: 삼성전자)

 

KH바텍의 힌지 제품 모형 (출처: KH바텍)

 

 

이러한 힌지는 폴더블폰에서 정말 정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역할을 꼽자면, 바로 폴더블폰의 수명을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폴더블폰은 스마트폰을 열고 닫는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사용하다 보면 하루에 수십번, 많게는 수백번을 열고 닫게 됩니다.

그래서, 힌지의 내구성이 정말 중요합니다.

 

한 예시로, 폴란드의 IT전문 유튜버 Mrkeybrd모토로라 레이저40 삼성 갤럭시 Z플립5내구성 테스트를 매우 흥미로운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모토로라 레이저40울트라 (출처: 모토로라)

 

 

테스트에 대한 이야기를 드리기 전에,

삼성 갤럭시 Z플립5와 함께 테스트에 사용된 모토로라 레이저40 폴더블폰의 디자인을 함께 보시겠습니다.

 

전면 디스플레이 크기도 그렇고, 디자인도 그렇고, 모토로라 로고까지 합쳐지니 걷보기에는 매우 매력적이어 보입니다!

그렇지만, 내구성 테스트 결과를 보시면 깜짝 놀라실 거에요!

 

 

모토로라 레이저40 vs. 삼성전자 갤럭시 Z플립5 내구성 테스트 (출처: Mrkeybrd 유튜브 채널)

 

 

두 사람이 나란히 앉아 모토로라 레이저40플러스와 삼성 갤럭시 Z플립5를 열고 닫는 것을 쉬지 않고 반복한 결과,

 

모토로라 레이저40플러스는 총 43000회를 열고 닫자 삐걱거리다가 126000회쯤 완전히 망가진 반면,

삼성 갤럭시 Z플립5223000번째에 서서히 힌지에 이상이 발견되었으며 40만회 넘게 여닫은 끝에 끝내 고장났다고 합니다.

 

 

갤럭시 Z플립5 내구성 테스트 중 지친 유튜버 (출처: Mrkeybrd 유튜브 채널)

 

 

하루에 힌지를 평균 200번 열고 닫는다고 가정하면,

모토로라 레이저40플러스 사용 후 약 215일만에 힌지 이상이 생기고 약 1년 반 뒤 아예 고장날 것이지만,

삼성 갤럭시Z플립5사용한지 약 3년 뒤 힌지 이상이 생기고, 6년 뒤 고장이 난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모토로라 레이저40플러스는 삼성의 갤럭시 Z플립5에 비해 힌지의 내구성이 좋지 않아 폴더블폰의 수명이 매우 짧다는 말인데요, 이렇듯 힌지 하나로 폴더블폰의 수명이 매우 크게 결정됩니다!

 

생각보다 엄~청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나요??

 

 

--------------------

 

 

다음으로, 힌지는 폴더블폰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인데요,

 

 

갤럭시 Z플립4, Z플립5 접은 상태 측면 비교 (출처: 삼성전자)

 

 

여러분은 위, 아래의 측면 사진 중 어느 것이 더 완성도 있어 보이시나요?

 

위의 그림은 일반 U자형 힌지를 탑재 Z플립4, 아래는 물방울 모양 플렉스 힌지를 탑재 Z플립5인데요,

Z플립4는 틈 사이가 벌어져서 다소 완성도가 떨어지는 모습인 반면, Z플립5는 완전히 닫힌 모습으로 매우 완성도 있게 보이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게다가, 흰지의 발전 덕에 펼쳤을 때의 접히는 부분 윤곽도 더 연해지고 더 매끄러워졌다고 하네요!

 

어떤가요? 폴더블폰의 수명디자인 모두에서 힌지 기술력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가 없겠죠?

 

 

--------------------

 

 

그런데, 이러한 힌지를 KH바텍 삼성전자에 독점 (90% 이상) 공급합니다!

 

이는, 삼성전자의 폴더블폰이 한 개가 팔릴 때마다, KH바텍의 힌지 제품도 한 개가 팔린다는 말인데요,

다음 그래프에서 보시는 것처럼 폴더블폰 시장은 앞으로 성장할 여지가 정말 많습니다.

 

작년 기준 전세계에서 1,310만대가 생산되었는데, 2027년에는 1억 150만대가 생산될 것이라고 하니까요.

폴더블폰 시장은 매년 30% 이상의 꾸준한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아주 매력적인 시장입니다!

 

 

글로벌 폴더블폰 출하량 전망 (단위: 백만대, 출처: 카운터포인트)

 

 

그 중에서도, 2022년 출하된 폴더블폰 1,310만대 중 KH바텍이 삼성 Z플립 시리즈에 공급한 힌지가 약 1,100만대라고 합니다.

KH바텍의 폴더블폰용 힌지 시장 점유율84%였다는 이야기인데, 2027년까지 저렇게 많은 폴더블폰이 생산될 것을 생각하면, 어마무시하지 않나요?

 

아주 조금만 더 깊게 들어가 봅시다.

 

2027년 폴더블폰 시장 점유율 추정치 (출처: 카운터포인트)

 

 

2027년 삼성전자의 예상 글로벌 폴더블폰 점유율은 47%입니다.

 

KH바텍은 2022년 기준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힌지의 90%이상을 납품하였는데, 향후 삼성전자의 고객 다변화를 예상해서 202770%를 납품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삼성전자만을 고객으로 뒀을 시, KH바텍은 삼성전자의 2027년 폴더블폰 출하량 약 4,700만대 중 3,200만대에 힌지를 공급하게 됩니다.

2027년 KH바텍의 힌지 매출은 현재 힌지 매출의 3가 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과연 2027년에도 현재처럼 삼성전자만을 폴더블폰 고객으로 두게 될까요?

애플, 샤오미, 오포, 비보 등으로 고객사를 더욱 확장할 여지가 있지는 않을까요?

 

고객 확장 시, 2027년에는 현재의 매출보다 3~4배 이상 성장하며,

이는 올해부터 4년 동안 최소 연평균 30%이상 매출 성장을 한다는 말이 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KH바텍을 매수할 구미가 당기시나요?

 

 

--------------------

 

 

게다가, 갤럭시 Z플립4에 쓰인 U자형 힌지와 갤럭시Z플립5에 쓰인 물방울 모양 플렉스 힌지에는 1년 사이에 큰 기술력 발전이 있었고,

힌지의 발전 덕분에 이번 출시된 삼성 폴더블폰은 디자인 및 성능 측면에서 큰 개선이 있었습니다.

 

기술력이 올라간 만큼, 플렉스 힌지의 평균 판매 가격 (ASP)은 U자형 힌지보다 2~30% 더 비싸며, 이는 곧 KH바텍 힌지 제품 영업이익률의 상승을 의미합니다.

(물론, 기술력이 더욱 첨가될 수록 원가도 높아져서 이전 제품과 이익률 차이가 크~게 나지 않는다고 해도, 더 기술력 좋은 힌지일수록 이익률이 올라가지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현재 폴더블폰용 힌지 시장에는 마땅한 국내 경쟁사가 없는 상황이기에, 후발 주자가 생긴다고 해도 기술 갭 차이는 점점 더 날것이고, 시장 경쟁력과 영업이익률 측면에서 다른 기업들과 차별화가 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

 

 

지금부터, 목표주가 산출을 위해, 아주 러프하게 밸류에이션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조금 어려울 수도 있지만, 함께 따라와주세요!

 

2027년 매출을 보수적으로 잡아서, 아까 예상했던 3~4배가 아니라 3배가 된다고 가정해봅시다.

2022년 연간 매출은 3,600억인데 그 중에서 힌지 매출은 2,200억입니다. 2027년 힌지 매출은 3배인 약 6,600억이 되겠군요.

그렇게 되면, 힌지 매출의 연평균 성장률은 26%가 나오고, 2024년 힌지 매출은 3,500억 정도로 예상이 됩니다.

다른 제품들의 매출이 매년 동일하다고 아주 보수적으로 가정했을 시, 2024년 전체 매출은 4,900억원으로 예상되네요.

 

여기서, 아까 말씀드렸던 대로, 기술력의 발전에 따라 영업이익률이 조금씩 상승합니다.

2022년 기준 영업이익률은 8.9%였으므로, 이번에도 아주 보수적으로 1년에 0.5%씩만 성장한다고 해봅시다.

그렇게 되면 2024년 예상 영업이익률은 9.9%가 되며, 약 49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네요.

 

2024년 당기순이익은 러프하게 2022년 법인세율 18.75%만을 적용하여 약 400억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아~주 보수적으로 잡았을 때에도, 매년 주요 제품의 연간 매출 성장률은 26%이고, 2024년 예상 당기순이익은 400억입니다.

 

이렇게 시장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의 독점 공급자에게 PER 10배는 너무 작은 것 같아요.

15배를 적용하면, 2024년 예상 시가총액은 400억 x 15배 = 6,000억입니다.

 

현재 시총은 3,500억이므로, 2024년까지 아직 72%의 상방 여력이 남아 있으며, 목표주가는 25,700원이 산출됩니다.

 

어떤가요? 매우 보수적으로 잡았는데도, 목표주가가 상당히 높게 형성됨을 알 수 있지 않나요?

 

 

--------------------

 

 

지금까지, 삼성 폴더블폰 수혜주로 KH바텍을 소개드리고, 주가 전망과 목표주가까지 산출해보았는데요,

이번 글도 흥미롭게 봐주셨나요~?

 

투자 판단에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열심히 작성해보았으니, 꼭 꼭 도움이 되시길 바래요!

 

다음 글에서에는, 이번 KH바텍 주가 전망에서 간략히 소개드렸던 목표주가 산출을 위한 밸류에이션 방법론에 대해 소개를 드리고자 해요!

이번 글을 읽으시면서 밸류에이션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되셨더라도, 다음 번에 더욱 쉽고 자세히 설명드릴테니 기대해주세

요!

*다음글: 기업 목표주가 산출을 위한 밸류에이션 방법론

 

질문과 댓글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그럼, 다음 글에서 또 만나요!

 

반응형